'대규모 지역사업' 놓고 뒤집어진 대한민국
"충청, 과학벨트 화났다" 與 최고위원이 MB 비판
민주 호남·충청 의원들, 의총서 말싸움 벌이기도…
與野와 계파 초월해 과학벨트·신공항 연대
조선일보 | 홍영림 기자 | 입력 2011.02.08 03:10 | 수정 2011.02.08 08:55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대전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 중앙당 기자실. 대전 출신의 친박(親朴)계 박성효 최고위원이 기자간담회를 자청했다. 그는 작심한 듯 "충청도민이 분개하고 있다"면서 말을 꺼냈다.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입지 선정과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일 신년 좌담회에서 충청권 유치 공약의 원점 재검토를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한 데 대한 정면 비판이었다. 박 최고위원은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런 주장을 펴려 했지만 안상수 대표 등 당 지도부가 만류하자 기자회견까지 강행한 것이었다.
이날 오후 국회 브리핑룸에선 경남 밀양 을 지역구로 둔 친이(親李)계 조해진 의원이 대구 · 울산 · 경북 ·경남 지역 시·도의원을 대동한 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남권 주민들은 신공항 최적지로 밀양을 압도적으로 지지해왔다"며 동남권 신공항의 밀양 선정을 주장했다. 국책사업의 지방 유치를 놓고 친이·친박 가릴 것 없이 총력전을 펼치는 것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당·청(黨·靑) 회동에서 과학벨트와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해 "정치적 논란을 중지하라"고 여당에 요구했지만, 논란은 오히려 중앙 정치 무대까지 옮겨붙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 여·야(與·野) 또는 여권 내 친이·친박 간 정파 대립 양상을 보였지만, 과학벨트와 동남권 신공항은 계파를 불문하고 출신 지역으로 갈라졌다.
이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이었던 과학벨트 사업을 놓고 지역별 육박전이 펼쳐진 것은 작년 2월 국회가 관련법을 통과시키면서 유치지역을 못박지 않아서다. 친박계인 박성효 최고위원이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에 발벗고 나선 반면, 대구가 지역구인 같은 친박계 유승민 · 서상기 의원 등은 대구·경북 유치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들은 친이계인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을) 등 같은 지역 의원들과 손잡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민주당
도 사정이 복잡하다. 지난달 31일 의총에선 호남권과 충청권 의원들이 크게 설전을 벌였다. 광주 출신인 김영진 의원이 단상에 올라 민주당이 지난해 말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당론으로 확정한 것을 비판하며 "과학벨트를 의총에서 공론화해보자"고 말하자, 박병석·변재일 의원 등 충청권 의원들이 "무슨 말씀하시는 겁니까"라고 맞섰다.
역시 이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도 대구·경북·울산 등의 지원을 받는 경남 밀양과 부산의 가덕도를 놓고 한나라당 텃밭인 영남권이 둘로 갈라졌다. 친박계인 정희수 의원(경북 영천)은 이날 "국토연구원의 용역결과에서 밀양이 최적지로 나왔다"며 친이계인 조해진 의원을 거들었다.
부산
권 의원들도 결사적이긴 마찬가지다. 친이계인 김정훈 의원(부산 남갑)은 "가덕도가 선정되지 않으면 부산에선 다음 총선과 대선을 포기해야 할 정도"라고 했고, 친박계인 김세연 의원(부산 금정)도 "외국 전문가를 참여시켜 (가덕도 입지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시비를 불식시켜야 한다"고 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대규모 지역사업 앞에 계파는 사라진 지 오래"라며 "계파를 초월한 '과학벨트 연대·신공항 연대'가 구축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구와 울산, 경상남북도 등 영남 4개 지자체 관계자들은 7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남권 신공항 건설지로 밀양이 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기자회견후 동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를 위한 영남 4개 지역민 삭발식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국회 사무처의 반대로 무산됐다. /민봉기 기자 ㆍ 朴의 침묵
↑ [조선일보]
↑ [조선일보]“과학벨트 우리 지역에” 자유선진당 이상민, 민주당 박병석 의원과 염홍철 대전시장(앞줄 왼쪽 네 번째부터)이 7일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현종 기자 shin69@chosun.com
↑ [조선일보]“신공항 우리 지역에” 경남 밀양 출신인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왼쪽에서 네 번째)이 7일 국회 브리핑룸에서 대구·울산·경북·경남 등 4개 시·도 광역의원들과 함께 동남권 신공항의 밀양 유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허영한 기자 younghan@chosun.com
이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당·청(黨·靑) 회동에서 과학벨트와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해 "정치적 논란을 중지하라"고 여당에 요구했지만, 논란은 오히려 중앙 정치 무대까지 옮겨붙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 여·야(與·野) 또는 여권 내 친이·친박 간 정파 대립 양상을 보였지만, 과학벨트와 동남권 신공항은 계파를 불문하고 출신 지역으로 갈라졌다.
이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이었던 과학벨트 사업을 놓고 지역별 육박전이 펼쳐진 것은 작년 2월 국회가 관련법을 통과시키면서 유치지역을 못박지 않아서다. 친박계인 박성효 최고위원이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에 발벗고 나선 반면, 대구가 지역구인 같은 친박계 유승민 · 서상기 의원 등은 대구·경북 유치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들은 친이계인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을) 등 같은 지역 의원들과 손잡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민주당
도 사정이 복잡하다. 지난달 31일 의총에선 호남권과 충청권 의원들이 크게 설전을 벌였다. 광주 출신인 김영진 의원이 단상에 올라 민주당이 지난해 말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당론으로 확정한 것을 비판하며 "과학벨트를 의총에서 공론화해보자"고 말하자, 박병석·변재일 의원 등 충청권 의원들이 "무슨 말씀하시는 겁니까"라고 맞섰다.
역시 이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도 대구·경북·울산 등의 지원을 받는 경남 밀양과 부산의 가덕도를 놓고 한나라당 텃밭인 영남권이 둘로 갈라졌다. 친박계인 정희수 의원(경북 영천)은 이날 "국토연구원의 용역결과에서 밀양이 최적지로 나왔다"며 친이계인 조해진 의원을 거들었다.
부산
권 의원들도 결사적이긴 마찬가지다. 친이계인 김정훈 의원(부산 남갑)은 "가덕도가 선정되지 않으면 부산에선 다음 총선과 대선을 포기해야 할 정도"라고 했고, 친박계인 김세연 의원(부산 금정)도 "외국 전문가를 참여시켜 (가덕도 입지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시비를 불식시켜야 한다"고 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대규모 지역사업 앞에 계파는 사라진 지 오래"라며 "계파를 초월한 '과학벨트 연대·신공항 연대'가 구축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憲裁 "총리가 사는 밥 안먹어" (0) | 2011.02.09 |
---|---|
이재오 "개헌 놓고 친이-친박 다툴 이유 없어" (0) | 2011.02.08 |
홍헌표 암환자로 행복하게 살기(1)] 2년4개월 만에 돌아온 직장, 늘 웃고 (0) | 2011.02.01 |
개헌론, '李心' 실체 있나 없나 (0) | 2011.01.26 |
강원도 양양서 희토류 생산한다 (0) | 201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