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개헌기구 구성돼도 무시전략 유지"
- ▲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10일 오전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세계물포럼 한국유치 및 먹는물 관리법 선진화 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개헌논의 외면 속 정책 행보 집중
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계는 당내 개헌특별기구 구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무시전략’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구 구성이 다수 친이계가 밀어붙인 결과로 본질에는 변화가 없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복수의 친박 의원들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대표는 국민적 공감대가 없는 개헌은 안될 것인 만큼 대립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이는 친박 의원들이 개헌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거의 하지 않은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당내에 구성되는 특별기구에 참여할 가능성도 낮다.
한 친박 의원은 “정략적 의도가 다분히 숨어 있다고 반대했는데 지금 와서 참여할 수는 없다”고 말했고, 또 다른 친박 의원도 “국민이 개헌 논의에 관심이 없는 만큼 기구가 구성돼도 무시 전략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기구에 참여해 올바른 길로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극소수에 그친다.
이런 가운데 서병수 최고위원은 “개발독재시대에 청와대에서 ’호의호식’ 하지 않았느냐”고 비판했던 강명순 의원을 겨냥, “모 여성 의원의 의총 발언은 개헌을 주도하는 사람의 생각과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를 의심케 하는 단면”이라며 “정치적 음모로 당이 파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당 안팎의 우려가 현실화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당내에선 이 같은 발언이 이재오 특임장관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이 장관이 언론인터뷰에서 “앞으로 딱 6개월 더 (개헌을 위해) 뛰겠다. 연말을 보라”고 한 것에 대해서도 한 친박 인사는 “매사 정치공학으로 접근해 당을 어렵게 만드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박 전 대표는 개헌 논의를 외면하는 대신 정책 행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8일 ‘산업기술 유출방지.보호지원법 개정안’ 공동발의를 위한 서명을 당 소속 지식경제.교육과학기술위 위원들에게 요청했고, 앞서 7일에는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안에 대해 당소속 의원 전원을 상대로 공동발의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박 전 대표는 교육과 안보 분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정책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